CODE 메모를 모아서 성과를 내는 법

  • 정보 과부하에 압도당하지 않고 메모를 효율적으로 모아서 활용하는 법
  • 정보 –> 지식 –> 성과
  • PARA 를 잘 활용하는 “수집법” –> 무엇언제 하면 되는 지에 대한 해결법
    • 노트는 언제 모으고 어떻게 작성하는 지?
    • 언제 영역과 자원으로 분류하는 지?
    • 프로젝트 시작, 종료엔 뭘 해야 하는 지?
  • 세컨드 브레인의 운영 방법

1. Capture

수집

  • 오로지 스피드가 중요
  • 접근하기 쉬운 수집함을 만들 것
    • 무엇을 적용하던 빠르게 수집할 수 있는 수단
      • ex) 아이폰 단축어 기능 활용 + 애플워치 음성인식으로 메모
  • 절대 수집하는 것에 대해 평가하지 말 것

2. Distill

추출

  • 딱히 시점이 없어서 CODE 3번째인 추출을 먼저 적용
  • 정리, 표현 단계에서도 랜덤하게 시행하게 됨
  • 정보 과부하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시점
  1. 할 일 뽑아내기 - 실행할 수 있는가?
  2. 노트 쪼개기(노트의 원자성)
  • ex) 원씽 이라는 책을 읽고 감명 깊은 구절이나 핵심 주제별로 노트를 분리
  • 현재 중시 편향 –> 마케팅 or 뇌과학 이라는 자원에 분류
  • 인사이트가 세컨드 브레인의 각 PARA 로 자동 분산되어 흡수됨
  • 노트들끼리 연결이 뚜렷하고 쉬워짐
  1. 제목 짓기 (점진적 요약법 대체)
  • 대표성 + 키워드 를 기준으로 제목을 짓기
  • 수집한 정보를 읽고, 인사이트를 내 언어로 다시 작성하는 것
  • 메모를 활용하기 위해 적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

습관적으로 추출을 시행할 것

3. Organize

정리

  • 수집함을 비우면서 PARA 에서 어디에 위치할 지 정하기
  • 하루에 한 번 하는 것을 추천

4. Express

표현

  • 모은 메모들로 성과를 내는 단계 –> 성과는 보통 프로젝트 단위로 만들어 진다.
  • 프로젝트 시작, 종료 습관은 반드시 들일 것
    • 프로젝트와 관련된 노트를 한 곳으로 모으는 것
    • 탐색과 검색 활용 : PARA 를 둘러보면서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만한 것들을 다시 모으는 것
  • 중간 작업물